소화불량과 관련된 검사는 어떤 것이 있나요?
소화불량(소화장애)은 상복부 불편감, 팽만감, 조기 포만감, 속쓰림, 메스꺼움 등 소화기 증상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.
소화불량의 원인은 다양하며 진단을 위해 여러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.
대표적인 소화불량 관련 검사들은 다음과 같습니다.
1. 문진 및 신체검사 - 환자의 증상, 병력, 복용약물 등을 파악하여 소화불량의 원인을 가늠합니다.
2. 위내시경 검사(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, EGD) - 식도, 위, 십이지장 점막을 직접 관찰하여 염증, 궤양, 종양, 역류성 식도염, 헬리코박터균에 의한 위염 등의 원인을 찾습니다.
- 필요 시 조직검사(생검)를 통해 헬리코박터균 감염 여부, 암 여부 등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.
3.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검사 - 소화불량의 흔한 원인인 헬리코박터균 감염을 확인하는 검사입니다.
- 검사법: 위내시경시 조직검사, 요소호기검사(Urea breath test), 혈액항체검사, 대변항원검사 등이 있습니다.
4. 상부 위장관 조영검사(바륨 검사) - 위내시경이 어려운 경우 시행하며, 조영제를 삼킨 후 X선촬영하여 위나 십이지장의 구조적 이상을 평가합니다.
5. 복부 초음파 - 간, 담낭, 췌장, 비장 등 상복부 장기의 구조적 이상이나 담도질환, 췌장염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.
6. 위배출 검사(Gastric emptying study) - 위의 운동 및 배출 기능에 문제가 있는지 평가합니다.
소화불량 중 일부에서는 위마비(gastroparesis)가 원인일 수 있습니다.
7. 혈액검사 - 빈혈, 감염, 간·췌장 기능 이상, 갑상선 기능항진증 등 전신적인 원인 배제를 위해 시행합니다.
8. 대장 내시경 검사 - 만성적인 소화불량이나 함께 나타나는 하복부 증상이 있으면 대장 질환을 배제하기 위해 시행할 수 있습니다.
9. 기능성 소화불량 평가 - 특별한 기질적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,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진단하며, 운동성 검사나 위식도 산 역류 검사(pH 검사) 등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
--- 소화불량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선 내시경 검사가 가장 중요하며, 헬리코박터균 검사, 복부 초음파, 혈액검사 등 보조 검사가 필요합니다.
증상과 임상소견에 따라 추가적인 검사들이 시행될 수 있으므로 전문의와 상담 후 적절한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.